바른성경 (언어 : ko / 역본수정일 : 2015-10-18)
대한성서공회의 표준새번역 성경의 기조에 반대하여 몇몇 교단이 만든 한국성경공회가 9년동안 번역하여 새로 번역한 성경이다.


열왕기하(2Kings)
저자 : 미상 (예레미야 저작설 대세)
기록연대 : B.C 561-537
기록목적 :
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를 보여줌으로써 그 배후에 하나님이 계심을 알리기 위하여. 이스라엘과 유다의 타락상을 보여줌으로써 왕국의 멸망이 그들 스스로의 범죄에 기인. 인간 왕국의 유한성을 깨닫고 메시야 왕국을 바라보도록 하기 위하여.
줄거리 :
BC 722년 북 왕국이 앗수르에 패배하고 사마리아가 함락까지 이야기. 이 기간에 엘리야의 후계자인 엘리사가 하나님의 사자로서 일어섰다. 두 사람의 위대한 왕 히스기야와 요시야의 치적이 기록되어 있다. 왕이 하나님에 대하여 충실할 때는 나라가 번영하고, 이방신을 믿을 때는 쇠약해진다는 것이다.
<<
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11장 12장 13장 14장 15장 16장 17장 18장 19장 20장 21장 22장 23장 24장 25장
>>

16 장

  • 1 르말랴의 아들 베가 제십칠년에 요담의 아들 아하스가 유다 왕이 되었으니,

  • 2 아하스가 이십 세에 왕이 되어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 동안 다스렸다. 그는 자기 조상 다윗과는 달리 여호와 그의 하나님 보시기에 올바르게 행하지 않고,

  • 3 이스라엘 왕들의 길을 따르며, 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들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인들의 혐오스러운 행위를 본받아 자기 아들을 불 속으로 지나가게 하였다.

  • 4 그가 산당과 언덕과 모든 푸른 나무 아래에서 제사를 드리고 분향하였다.

  • 5 그때 아람 왕 르신과 이스라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싸우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와 아하스를 포위했으나 이기지 못하였다.

  • 6 당시 아람 왕 르신이 엘랏을 아람에게 되돌리고, 유다 사람들을 엘랏에서 몰아냈으므로, 아람 사람들이 엘랏으로 와서 오늘날까지 거기에 살고 있다.

  • 7 아하스가 사신들을 아시리아 왕 디글랏 빌레셀에게 보내어 말하기를 "저는 왕의 종이며 왕의 아들입니다. 올라오셔서, 저를 치려고 일어난 아람 왕과 이스라엘 왕의 손에서 구해 주십시오." 하고,

  • 8 아하스가 여호와의 전과 왕궁의 보물 창고에 있는 은과 금을 가져다가 아시리아 왕에게 선물로 보내니,

  • 9 아시리아 왕이 그의 요청을 받아들여 다마스쿠스로 올라와 그곳을 함락시킨후, 그 주민들은 길로 사로잡아 가고 르신을 죽였다.

  • 10 아하스 왕이 아시리아 왕 디글랏 빌레셀을 만나려고 다마스쿠스로 갔는데, 다마스쿠스에 있는 제단을 보고, 그 제단의 모형과 그것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도본을 제사장 우리야에게 보내니,

  • 11 아하스 왕이 다마스쿠스에서 돌아오기 전에 제사장 우리야가 아하스 왕이 다마스쿠스에서 보내 준 도본대로 제단을 만들었다.

  • 12 왕이 다마스쿠스에서 돌아와 그 제단을 보고, 제단에 나아가 그 위에 제사를 드렸는데,

  • 13 번제와 곡식제를 드리고 부어 드리는 제물을 드렸으며 화목 제물의 피를 제단 위에 뿌렸다.

  • 14 그가 또 여호와 앞에 있던 놋 제단을 옮겼으니, 새 제단과 여호와의 전 사이에서 옮겨다가 새 제단 북쪽 편에 두었다.

  • 15 아하스 왕이 제사장 우리야에게 명령하기를 "이 큰 제단 위에서 아침 번제물과 저녁 곡식 제물, 왕의 번제물과 곡식 제물, 이 나라 모든 백성들의 번제물과 곡식 제물과 부어 드리는 제물을 드리게 하고, 번제물의 모든 피와 희생 제물의 모든 피를 그 위에 뿌려라. 놋 제단은 오직 내가 여호와께 여쭤 볼 때에만 쓸 것이다." 하니,

  • 16 제사장 우리야가 아하스 왕의 명령한 대로 다 행했다.

  • 17 또 아하스 왕이 물두멍 받침대의 테두리를 뜯은 뒤 받침대 위에서 물두멍을 떼어 내었고, 놋 소들이 받치고 있던 바다를 끌어내려 그것을 돌바닥 위에 놓았으며,

  • 18 또 안식일에 사용하기 위해 성전에 만든 통로와 왕이 밖에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입구를 아시리아 왕 때문에 여호와의 전에서 옮겨 놓았다.

  • 19 아하스가 행한 나머지 행적은 유다 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지 않느냐?

  • 20 아하스가 자기 조상들과 함께 누우니 자기 조상들과 함께 다윗 성에 장사되고, 그의 아들 히스기야가 그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.

함께성경 제작 : 힐링교회 / 기멀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