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른성경 (언어 : ko / 역본수정일 : 2015-10-18)
대한성서공회의 표준새번역 성경의 기조에 반대하여 몇몇 교단이 만든 한국성경공회가 9년동안 번역하여 새로 번역한 성경이다.


로마서(Romans)
저자 : 바울
기록연대 : A.D 57
기록목적 :
바울의 로마 방문을 준비케 하기 위하여 구원의 교리를 자세히 가르쳐 바른 믿음위에 서게 하기 위하여 그릇된 그리스도적 영향에 물들지 않게 하기 위하여
줄거리 :
바울이 55-56년경 로마 교회 신자에게 보낸 서신 신약성서에 있는 13개의 바울 서신 가운데 가장 긴 것으로, 핵심은 하나님 의(義)로 말미암는 구원, 예수님의 속죄를 이신득의(以信得義)의 교리를 강조했다. 바울이 친필로 이 로마서를 쓴 것은 이방인의 사도로서의 선교 과정에 획기적 사건이었다. 바울은 거대한 세계도시인 로마에 가서 전도하기를 원했다. 그래서 먼저 로마의 신자들에게 편지를 보내 그들을 가르치고 자신이 세우지 않은 로마 교회 성 도들과의 영적 관계를 연결하기 위하여. 루터가 그의 <로마서 주석>에서 "이 서신은 신약성경의 진정한 핵심이며 가장 순수한 복음이다. 그리스도인은 그 낱말 하나하나까지 외우고 영혼의 양식으로서 간직하고 살아갈 가치가 있다."
<<
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11장 12장 13장 14장 15장 16장
>>

4 장

  • 1 그러면 우리가 육신으로 우리 조상 된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고 말할 수 있겠느냐?

  • 2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써 의롭다 하심을 얻었으면 자랑할 것이 있겠으나 하나님 앞에서는 없다.

  • 3 성경이 무엇이라고 말하느냐? "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니, 이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." 라고 하였다.

  • 4 일하는 자에게는 그 품삯이 은혜로 여겨지지 않고 보수로 여겨지지만,

  • 5 경건하지 못한 자를 의롭다 하시는 분을 믿는 자에게는, 비록 행위가 없어도 그의 믿음이 의로 여겨진다.

  • 6 행위와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로 여기심을 받는 사람의 복에 대하여 다윗도 말하기를

  • 7 "불법을 용서받고 죄가 가려진 자는 복이 있다.

  • 8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않으실 사람은 복이 있다." 라고 하였다.

  • 9 그러면 이 복이 할례자에게만 내리는 것이냐? 아니면, 무할례자에게도 내리는것이냐? 우리가말하기를 "아브라함에게는 그 믿음이 의로 여겨졌다." 라고 하였다.

  • 10 그러면 그것이 어떻게 의로 여겨졌느냐? 그가 할례를 받았을 때냐, 아니면 할례를 받기 전이냐? 할례를 받았을 때가 아니라 할례를 받기 전이었다.

  • 11 그가 할례의 표를 받은 것은, 할례를 받기 전에 얻은 믿음의 의를 확증하는 것이니, 이는 그가 무할례자로서 모든 믿는 자의 조상이 되어, 그들도 의롭게 여기심을 얻게 하려는 것이었다.

  • 12 그가 또한 할례자의 조상이 되었으니, 곧 할례를 받은 자들뿐만 아니라,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할례 받기 전에 가졌던 믿음의 발자취를 따르는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다.

  • 13 아브라함이나 그의 후손에게 세상의 상속자가 되리라고 하신 약속은 율법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라, 오직 믿음의 의로 말미암아 된 것이다.

  • 14 만일 율법에 속한 자들이 상속자라면, 믿음은 헛것이 되고 약속은 폐기되었을 것이다.

  • 15 율법은 진노를 이루게 한다. 율법이 없는 곳에는 범법도 없다.

  • 16 이러므로 상속자가 되는 것은 은혜에 속하기 위하여 믿음으로 되는 것이니, 이는 그 약속이 모든 후손, 곧 율법에 속한 자뿐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에 속한 자에게도 견고히 되게 하려는 것이다. 아브라함은 우리 모든 사람의 조상이다.

  • 17 기록된 바와 같이 "내가 너를 많은 민족의 조상으로 세웠다." 라고 하였으니, 아브라함은 그가 믿은 하나님, 곧 죽은 자를 살리시며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부르시는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조상이다.

  • 18 아브라함이 바랄 수 없는 가운데서 바라고 믿었으니, 이는 "네 후손이 이와 같을 것이다." 라고 하신 말씀대로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되게 하려는 것이었다.

  • 19 그는 백 세나 되어 이미 자기 몸이 죽은 것 같고, 사라의 태 또한 죽은 것같음을 알고도 믿음이 약해지지 않았고,

  • 20 믿음이 없어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하지 않고, 오히려 믿음에 견고해져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으며,

  • 21 약속하신 그것을 또한 능히 이루실 것이라고 확신하였다.

  • 22 그러므로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.

  • 23 "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다." 라고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

  • 24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, 곧 예수 우리 주님을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분을 믿는 우리까지도 위한 것이다.

  • 25 예수님은 우리의 범죄 때문에 내어 줌이 되시고,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시려고 살아나셨다.

함께성경 제작 : 힐링교회 / 기멀전